이렇게 더웠던 여름이 있었을까?
주 6일, 주 5일 일하던 때가 좋았지,라는 생각을 잠시 해본다.
그때는 하루 종일 에어컨 속에서 일하며 더운 여름을 더운 줄 모르고 보냈으니.
주 5일을 집에서 버터야 하는 기나긴 여름은 지치고 힘들다.
참다 참다 에어컨을 틀지만 집에서 놀면서 트는 에어컨은 전기료 이슈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연금생활자 부부에게는 살짝 부담스럽다.
살인적 폭염 속에선 부담은 뒷전, 묻고 따지지도 않고 주야장창 틀어댈 수밖에 없다만.
그리고 아무리 에어컨 빵빵 집구석이라도 딱히 사회적 활동이라곤 없는 퇴직자 부부가 더위에 갇혀 같은 공간에서 하염없는 시간을 감당해 내야 하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다.
웬만큼 더워야 산책이라도 나가지.
그래도 더위와 맞짱뜨러 무더운 대낮에도 길을 나섰다.
시원한 공짜 전철을 타고 어디론가 가자!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 샤갈 전시회를 보았다.


마르크 샤갈전시회는 양재동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9월 21일까지 열린다.
샤갈은 어린 시절 만난 부인이 먼저 죽자 그 부인을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단다.
평생 애틋한 부부도 있고
누군가는 하루 종일 같은 공간이 답답해 이 더위에 밖을 헤매고 있으니. ㅋㅋ
샤갈의 화사한 색감의 그림을 보니 그는 성공한 화가로 행복한 여생을 보낸듯하다.
무려 98세에 돌아가셨다.
또 다음엔 어디?
우연히 알게 된 워너 브롱크호스트를 만나러
서촌 그라운드시소에 갔다.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에서 5분 정도 걸어 가 만나는 아담한 중정이 있는 그라운드시소에서는 9월 14일까지 워너 브롱크호스트의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골프장에서, 테니스장에서, 설원에서,.... 에서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일상을 보내는 사람을 표현해 내는 그만의 독특한 방식이 매력적이다.
사람이 담긴 배경의 색은 단조롭고 선은 굵고 대담하지만 배경 속 아주 작은 사람들의 몸짓은 섬세하고 정밀하다.
위의 작품 속에서는 수영장 레인을 마주하고 있는 튜브를 몸에 두른 작은 아이의 결기? 아님 주저함이 보인다.
배경 속 점처럼 그려진 사람들 몸짓의 언어가 놀라울 정도로 전달이 잘 되는 그 표현력의 세밀함이 감탄스럽다.
자신의 어린아이를 안고 작품을 그리는 비디오를 보니 그 역시도 매우 행복해 보인다.
그래서인지 작품이 따뜻하고 평화롭다.
무더운 여름을 이겨내는 방법으로 전시회 나들이 좋았다.